■ 진행 : 함형건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운지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고체연료 ICBM인 '화성-18형'을 발사하며 한미일이 어제부터 북한의 '미사일 경보 정보'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했습니다. 한편, 군 당국이 이례적으로 한미 특수전 부대의 훈련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한반도 안보 상황은 어떠한지 김진아 한국외대 LD 학부 교수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. 어제부터 한미일 3국이 가동하기 시작한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에 대한 실시간 공유체계, 기존의 시스템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김진아] <br />기존에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과 미국 이렇게 두 개 채널이 계속 있었던 반면에 이제는 이것을 실시간으로 미국을 경유하면서 공유한다는 건데요. 원래 기존에는 정보공유 약정이라고 2014년에 있었던 TISA라는 게 있습니다. <br /> <br />TISA도 마찬가지로 한국의 정보를 미국이 받아서 일본으로 가져가고 일본의 정보를 미국에서 한국으로 가져가고 방식은 똑같은데 다른 점은 속도가 실시간이다, 굉장히 빨라졌다는 거예요. 사실 TISA의 문제점들이 많이 지적돼왔었거든요. <br /> <br />어느 한곳을 경유하면 이게 효율적이지 않다는 부분이 지적돼와서. 과거에는 시간이 왔다갔다 걸렸다고 얘기를 했고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지소미아가 그래서 필요하다고 얘기했었던 거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에도 한일 간의 공유는 안 됐어요. 대신에 기존의 TISA를 이용하되 속도감을 높여서 빨리 빨리 실시간으로 공유를 하게끔 인텔사가 데이터 링크를 가지고 있거든요. 그래서 이것을 빨리빨리 서로 전달받고 전달해 주고 이렇게 하는 걸로 일단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실시간이라는 표현이 말하듯이 좀 더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것. 거기에 방점이 놓인 것이다. 그러면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를 공유하는 건가요, 한미일 3국이? <br /> <br />[김진아] <br />일단 미국의 미사일방어시스템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요. 발사 전 그리고 발사 후예요. 그런데 이번에 우리가 공유하기로 한 건 발사 전이 아니라 발사 후의 정보. 그러니까 발사 전이라고 한다면 징후가 있을 때 이것을 교란을 하거나 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22019361719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